1996년부터 광주·전남의 작가들을 발굴·지원해 온 광주신세계미술제는 지역 미술 문화의 성장과 발전을 견인해 왔습니다. 수상작가 초대전은 미술제의 핵심 프로그램으로, 작가의 지속적인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그 성과를 널리 알려 왔습니다. 이번 《모래가 돌이 되는 시간》전은 2024년 제25회 광주신세계미술제에서 대상을 받은 ‘구성연’ 작가의 작품 세계를 선보입니다.
인도철학과 사진을 전공한 구성연 작가는 흔히 볼 수 있는 사물들을 해체하고 재구성하여 연출한 사진을 통해 사물, 시간, 물질에 관한 철학적 질문을 던져 왔습니다. 사탕이나 팝콘처럼 쉽게 사라지는 재료를 사용해 욕망의 덧없음을 감각적으로 표현한 작업은 구성연 작가의 대표작으로 손꼽힙니다. 지난 《제25회 광주신세계미술제 1차 선정작가전》에서 선보인 〈Sugar〉 연작 역시 녹인 설탕으로 만든 사물이 조명 아래에서 영롱히 빛나며 녹아내리는 순간을 인상적으로 포착한 작품이었습니다.
구성연 작가의 작업이 더욱 흥미로운 점은 정물화나 화조화와 같은 전통 미술 장르를 차용함으로써, 감상과 해석의 층위를 더한다는 점입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동양화의 대표 장르인 산수화와 난초화를 재해석한 〈산수〉와 〈난초〉 연작을 선보입니다. 돌과 바위를 근접 촬영하여 거대한 산처럼 느껴지는 화면을 구성한 〈산수〉 연작과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플라스틱 폐기물로 정결함의 상징인 난초를 표현한 〈난초〉 연작은 재료와 완성된 형상 사이의 흥미로운 어긋남을 만들어냅니다. 산이 부서져 모래가 되고, 그 모래가 바다로 흘러가 융기를 통해 다시 산이 되는 자연의 순환을 뜻하는 제목 ‘모래가 돌이 되는 시간’은 전시의 전체적인 콘셉트를 전합니다.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은 한지 위에 인화함으로써 영감이 된 동양화의 감각을 자연스럽게 전시장 안에 불어넣습니다. 〈산수〉와 〈난초〉가 각기 다른 매체를 다루는 《대구사진비엔날레》,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에 초청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입니다.
지난 미술제 심사평에서 구성연 작가는 “사진이되 공예적인 크래프트 맨십을 느낄 수 있는 독창성”이 있으며 “과거의 성취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시도를 통해 자기 언어를 더 견고하게 벼린다”라는 평가를 받으며 대상 작가로 선정되었습니다. 《모래가 돌이 되는 시간》을 통해 미술의 전통과 철학적 사유를 사진으로 담아낸 작가만의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만나길 기대합니다.
이벤트 | 도슨트 전시설명 일정 | 전시기간 중 상시운영 장소 | 광주신세계 1층 갤러리 신청방법 | 갤러리 데스크 문의 참가비 | 무료
1 /
참여 작가
구성연
전시 내용
1996년부터 광주·전남의 작가들을 발굴·지원해 온 광주신세계미술제는 지역 미술 문화의 성장과 발전을 견인해 왔습니다. 수상작가 초대전은 미술제의 핵심 프로그램으로, 작가의 지속적인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그 성과를 널리 알려 왔습니다. 이번 《모래가 돌이 되는 시간》전은 2024년 제25회 광주신세계미술제에서 대상을 받은 ‘구성연’ 작가의 작품 세계를 선보입니다.
인도철학과 사진을 전공한 구성연 작가는 흔히 볼 수 있는 사물들을 해체하고 재구성하여 연출한 사진을 통해 사물, 시간, 물질에 관한 철학적 질문을 던져 왔습니다. 사탕이나 팝콘처럼 쉽게 사라지는 재료를 사용해 욕망의 덧없음을 감각적으로 표현한 작업은 구성연 작가의 대표작으로 손꼽힙니다. 지난 《제25회 광주신세계미술제 1차 선정작가전》에서 선보인 〈Sugar〉 연작 역시 녹인 설탕으로 만든 사물이 조명 아래에서 영롱히 빛나며 녹아내리는 순간을 인상적으로 포착한 작품이었습니다.
구성연 작가의 작업이 더욱 흥미로운 점은 정물화나 화조화와 같은 전통 미술 장르를 차용함으로써, 감상과 해석의 층위를 더한다는 점입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동양화의 대표 장르인 산수화와 난초화를 재해석한 〈산수〉와 〈난초〉 연작을 선보입니다. 돌과 바위를 근접 촬영하여 거대한 산처럼 느껴지는 화면을 구성한 〈산수〉 연작과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플라스틱 폐기물로 정결함의 상징인 난초를 표현한 〈난초〉 연작은 재료와 완성된 형상 사이의 흥미로운 어긋남을 만들어냅니다. 산이 부서져 모래가 되고, 그 모래가 바다로 흘러가 융기를 통해 다시 산이 되는 자연의 순환을 뜻하는 제목 ‘모래가 돌이 되는 시간’은 전시의 전체적인 콘셉트를 전합니다.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은 한지 위에 인화함으로써 영감이 된 동양화의 감각을 자연스럽게 전시장 안에 불어넣습니다. 〈산수〉와 〈난초〉가 각기 다른 매체를 다루는 《대구사진비엔날레》,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에 초청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입니다.
지난 미술제 심사평에서 구성연 작가는 “사진이되 공예적인 크래프트 맨십을 느낄 수 있는 독창성”이 있으며 “과거의 성취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시도를 통해 자기 언어를 더 견고하게 벼린다”라는 평가를 받으며 대상 작가로 선정되었습니다. 《모래가 돌이 되는 시간》을 통해 미술의 전통과 철학적 사유를 사진으로 담아낸 작가만의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만나길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