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갑진년(甲辰年) 새해를 맞이하여 광주신세계갤러리에서는 신년기획전 《용이 여의주를 얻듯이》를 개최합니다. 갑진년의 ‘갑(甲)’은 푸른색을 의미하고, ‘진(辰)’은 용을 상징하는 만큼 이번 전시는 ‘청룡’을 주제로 신년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용에 대한 기발한 해석을 바탕으로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표현된 작품들은 우리의 띠 문화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과 전통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듭니다.
십이지(十二支)의 다섯 번째 동물에 해당하는 용은 십이지 중 유일하게 현실에서 찾아볼 수 없는 상상 속의 동물입니다. 그래서인지 용은 주로 신성함, 권력, 성공, 성취에 관련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에서 용은 농업과 어업에 영향을 끼치는 비, 구름, 바람의 조화를 다스리는 존재로, 우주에 존재하는 신성한 힘과 질서를 상징하는 동물로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가뭄이 들었을 때 용에게 ‘기우제(祈雨祭)’를 올리고, 풍어를 기원하는 ‘용왕굿’과 ‘용신제(龍神祭)’를 지내기도 했습니다. 우주만물의 질서를 상징하는 용은 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동물이기도 했습니다. 때문에 왕의 얼굴을 높여 ‘용안(容顔)’이라 칭했고, 왕이 입는 옷은 ‘용포(龍袍)’, 곤룡포(袞龍袍)’라고 불렀습니다. 또한 뛰어난 사람이나 성취를 나타내는 데에도 용의 상징적 의미가 활용되었습니다. 성공하기 위한 절호의 기회가 되는 관문을 ‘등용문(登龍門)’이라고 부르고, 좋지 못한 환경을 극복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개천에서 용났다”라는 속담이 있으며, 어떤 사람의 용모나 처지가 좋아졌을 경우에 “용됐다”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바위, 송영학, 신호윤, 이수진, 이인성, 정뱅, 황중환 7인의 작가는 이와 같은 용의 상징성과 특징을 바탕으로 새롭게 창작한 작품을 선보입니다. 회화, 일러스트, 영상, 설치 작품에 담긴 각양각색의 개성 넘치는 용 이야기는 갤러리 공간뿐만 아니라 1층 광장에서 진행되는 ‘아트월 프로젝트’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용의 신통한 능력은 용이 지니고 있는 여의주에서 비롯되어, 사람도 여의주를 얻으면 용처럼 온갖 재주를 부릴 수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이번 광주신세계갤러리 신년기획전을 관람하신 모든 분이 ‘용이 여의주를 얻듯이’ 청룡의 기운을 듬뿍 받아 갈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2024년 한 해 뜻하는 바 모두 이루시고, 만사형통하시길 기원합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