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경영 방침
* 18~20년 기준년도 대비 절감, 천안아산점 제외 전 점포 대상
ISO 14001 인증서친환경 경영 비전 및 추진방향
GREEN
SHINSEGAE
경영 전반에
친환경적인 시스템 구축
업의 특성으로 인한
환경 위해요소 최소화
에너지 및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통한 환경보호
고객, 지역사회와 함께
실천하는 친환경 경영 추구
밸류체인 세부 전략 및 목표
Value Chain | 전략 및 목표 |
---|---|
사업장 |
· ISO 14001 표준에 따른 환경경영시스템 구축을 통한 경영활동 환경영향 최소화
   - 에너지 사용량의 지속적 저감: 2030년까지 전기 및 도시가스 사용량 30% 저감    - 온실가스 배출 저감: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30% 저감        (* 기준연도: 2018년, 천안아산점 제외 전 점포 대상) · 녹색제품 구매 확산을 통한 사업장 및 점포 환경영향 저감    - 녹색구매율 증가: 2030년까지 10%, 2050년까지 15% 달성 목표        * 녹색제품 기준: 친환경 인증 제품(환경부 환경성적표지 인증 제품)        * 녹색구매율 산정산식: 녹색제품 구매액 ÷ 총 구매액        * 범위: 신세계백화점 전 점포, 별도법인 포함 · 용수/폐기물 관리를 통한 자원순환 체계 구축    - 용수 사용량 저감: 2028년까지 10% 저감    - 생활폐기물 배출량 저감: 2028년까지 10% 저감        * 기준: 2021년~2023년 사용량/배출량의 평균        * 범위: 신세계 백화점 전 점포, 별도법인 포함 |
상품 및 서비스 |
· 친환경 포장재의 사용 및 개발을 통한 폐기물 최소화
   - 명절 선물세트 패키지: 2030년까지 친환경 패키지 100% 적용    - 직매입 상품 패키지: 2050년까지 친환경 패키지 100% 적용        * 친환경 패키지: 100% 재생펄프 쇼핑백, Re-PET 플라스틱, 생분해성 비닐, 바가스(Bagasse) 펄프 · 제품 제조/ 운송 과정에서의 환경 영향 모니터링 및 절감 노력 |
이해관계자 |
· 생물다양성 보전활동 확대
   - 2026년까지 부산 인근 해역 생물다양성(국가보호종) 보전활동 투자금액 2억원 달성 목표    - 2030년까지 3개 지역점포(광주, 대전, 대구) 대상 생물다양성 보전활동 확대 실시 · 에코백, 친환경 쇼핑백 등 친환경 쇼핑 문화 정착 및 확대 노력 · PAPERLESS 캠페인을 통한 생활폐기물의 최소화 · 고객의 친환경 인식 확대 및 환경 보호 활동 참여 장려 캠페인 추진 |
친환경 경영 조직체계
총무팀 | ESG추진팀 | 매입팀 |
---|---|---|
친환경건물 및 정부정책 관련 ㆍ정부 행사/정책/제도 관련 대외 업무ㆍESCO 사업 (고효율 설비교체) ㆍ신재생에너지 검토 및 운영 |
친환경경영 전담업무총괄 ㆍ친환경상품/제도/캠페인 성과 관리ㆍ친환경 경영 실천 사내 캠페인/봉사활동 ㆍ정부행사/정책/제도관련 대외 업무 |
친환경 브랜드 및 상품 관련 ㆍ친환경상품 판매 및 판로 확대ㆍ환경친화적 자체브랜드 상품 개발 ㆍ친환경 경영 홍보 (그린마케팅) |
SHINSEGAE LOVES THE EARTH
‘SHINSEGE LOVES THE EARTH’는 환경사랑 메시지 전달, 재활용 소재의 장바구니 제작 등신세계는 환경을 생각한 친환경 소비를 실천하기 위해 ‘에코 패키지’사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신세계 종이쇼핑백과 포장지는 각 점포에서 발생하는 폐지를 자체 수집해 제작한 100% 재생 쇼핑백입니다.
100% 재생종이와 무코팅, 콩기름 인쇄로 제작하여 친환경 적이며,
연간 600만장 이상의 신규 종이 사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신세계 식품관은 플라스틱 포장재를 Bagasse펄프 소재로 교체 중입니다.
Bagasse펄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하는 곡물 중 하나인 사탕수수에서 설탕액을 추출하고
남은 섬유재로 만든 친환경 소재로 환경과 인체에 안전하며 100% 퇴비화가 가능합니다.
신세계는 선물세트 포장에 사용되는 다양한 패키지를 100% 생분해 되는 펄프소재나, RE-PET, 폐의류 등
업사이클링 소재를 사용하며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여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종이박스를 재생종이, 무코팅,
콩기름 인쇄를 진행 해 환경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신세계 푸드마켓에서 만나볼 수 있는 친환경 장바구니는 버려진 페트병 3개를 업사이클링하여 만들어졌습니다.
폐기물에 디자인과 활용성의 가치를 더해 리사이클링 또는 업사이클링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점포 운영으로 환경의 부담을 줄이고
녹색 소비 촉진, 쾌적한 쇼핑 환경 등을 조성해가고 있습니다.
태양광 집열판(의정부점 외 2개 점포)과 전기차 충전소(본점 외 9개 점포) 설치,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을 갖추는 등 신재생에너지의 사용을 통한 친환경 점포 운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폐수를 재활용하는 중수도 시스템, 세면대 절수 포말기 및 초절수 양변기 등의 설치를 통해 용수절감활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분기별 용수 절감 실적을 점검하고,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 가능성을 억제하기 위한 폐기물 처리 Flow 를 마련하고 전사적으로 분리수거를 강화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잔반 줄이기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폐기물 처리 과정 모니터링을 통해 음식물쓰레기와 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결과를 점검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단위: TJ
구분 | 21년 | 22년 | 23년 |
---|---|---|---|
신ㆍ재생에너지 사용량 | 0.0559 | 0.0470 | 0.0471 |
※ 태양광 설비 설치 점포 기준(본점, 의정부점, 대구점)
*단위: ton
구분 | 2023 목표 | 2023 실적 | 계획대비 저감율 |
---|---|---|---|
폐기물 배출량 | 22,316 | 21,603 | ▲3% |
※ 천안아산점 제외 전 사업장 기준
*단위: ton
구분 | 2023 목표 | 2023 실적 | 계획대비 저감율 |
---|---|---|---|
용수 사용량 | 2,220,441 | 2,149,507 | ▲3% |
※ 천안아산점 제외 전 사업장 기준
*단위: tCO2eq
연도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목표) |
---|---|---|---|---|---|---|
총 배출량 | 137,416 | 122,984 | 118,990 | 123,221 | 125,882 | 122,106 |
※ 별도법인(광주/대구/대전) 제외 전 사업장 기준, 19~21년 인천점 실적 제외
* Scope 1,2 합계 데이터
*단위: TJ
구분 | 2023 목표 | 2023 실적 | 계획대비 저감율 |
---|---|---|---|
에너지 사용량 | 2,688 | 2,602 | ▲3% |
신세계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문화 확산을 위하여 협력회사 뿐만 아니라, 임직원 그리고 고객과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친환경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신세계는 2023년 서울시가 주최하는 ‘우리가 그린 (Green) 페스티벌’에 참여하여 녹색 문화 확산을 촉진했습니다.
체험형 부스에서는 버려진 화장품 공병과 배달 용기 등을
재활용해 만든 재료로 줄넘기를 직접 만들 수 있으며,
체험형 활동 외에도 친환경 쇼핑백 도입, 제로 웨이스트 캠페인등 신세계의 환경친화적 활동을 소개하였습니다.
신세계는 임직원의 진정성 있는 참여를 유도하고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환경 보호 활동을 소개하기 위해 다양한 사내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먼저 코로나 종식 이후 불필요해진 식당 플라스틱 칸막이를 인테리어 소품으로
업사이클링하여 어린이 시설에 기증했습니다.
그리고, 인공지능 순환자원 수거 기기 ‘네프론'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네프론은 인공지능을 활용해 자원을 선별적으로 수거하는 회수 로봇입니다.
수거된 페트병과 캔은 새로운 자원 (섬유 또는 비행기의 날개)으로 재탄생 되었습니다.
신세계는 협력회사와 함께 당일 제조 하였으나 미판매되어 고스란히 버려지는 안전 식품을 지역사회 취약계층에
기부하는 식품기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식품기부를 통해 음식물 폐기량을 감축 시킬 뿐 아니라,
취약계층을 도울 수 있는 신세계 대표 상생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습니다.
신세계는 부산시와 ‘바다 생태숲 조정’ 실천 협약을 체결 하였습니다.
협약을 통해 탄소중립과 수산자원 및 생물 다양성 증진 사업, 해양 생태환경 개선 및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실천, 순환경제 실현 등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최근 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