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을 머금은 몸
이불, ‘사이보그’
2021/01 • ISSUE 32
editorKim Jihye
writer Hyo Gyoung Jeon 아트선재센터 큐레이터
Photo by Mark Metcalfe ©Getty Images
“이 세계의 추한 것만 보려는 이들이 있죠. 혼란스러운 것들만요. 저는 아름다움을 보려 해요. 저는 그런 사명이 있다고 믿어요(Some people choose to see the ugliness in this world, the disarray. I choose to see the beauty. To believe there is an order to our days).”
2016년부터 방영한 미국 HBO의 TV 시리즈 〈웨스트월드〉에서 ‘호스트’로 불리는 사이보그 돌로레스의 대사다. 〈웨스트월드〉에서는 호스트라는 사이보그를 ‘웨스트월드 파크’라는 곳에 넣어 미국 서부 영화 속 인물로 등장하게 한다. 비용을 지불한 ‘게스트’들은 이 파크에 들어가 영화 내용을 마음대로 만들 수 있다. 심지어 호스트를 죽이는 일도 서슴지 않는다. 호스트는 겉으로 (심지어 몸속 장기도) 인간과 구분이 되지 않지만 프로그램에 따라 성격과 사고방식이 형성되어 주체적으로 행동할 수는 없다. 돌로레스의 대사는 프로그래머를 통해 입력된 성격에 따라 생성된 것이며 그가 ‘보고 있는’ 세계는 가짜일 뿐이다. 아름답다는 추상적인 개념은 사이보그인 돌로레스의 프로그램 안에서 조작되었고, 프로그램에 의해 어떤 대상이든 ‘아름다움’의 범주에 넣을 수도 있다.
인간 형태를 띠고는 있지만 과하게 매끈하며, 단단하지만 성격이나 감정은 없는 존재. 사이보그는 ‘사이버네틱스 cybernetic’과 ‘오가니즘 organism’을 합성해 만든 말로 생물과 기계장치의 결합체를 뜻한다. ‘사이보그’라는 말은 이제 많은 사람들이 익히 들어 알고 있는 것으로, 이 말을 들었을 때 누구나 상상하는 이미지가 있을 것이다. 그간 사이보그의 이미지는 여러 형식으로 다양화되어 이제는 그 존재가 익숙하게 느껴진다.
여성의 몸 ‘사이보그’
이불의 ‘사이보그’ 시리즈는 언뜻 비율이 이상적인 인간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실제로 인간에게서 볼 수 있는 신체 비율은 아니다. 이 형태에 달라붙어 있는 기계장치와 함께 여전사 이미지를 지닌 ‘사이보그’는 이불이 일본의 망가나 애니메이션에서 참고한 형태라고 한다. 사지 중 한두 개가 잘려나간 이불의 ‘사이보그’는 피부와 닮은 재질이자 신체 보형물 재료로 쓰이는 실리콘, 폴리우레탄으로 제작했다. 이 작품은 1998년 처음 만들어진 이후 형태와 재료를 조금씩 달리해 현재까지 연작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 작품을 처음 국내 관객에게 선보인 것은 1998년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린 국내 첫 개인전에서였다. 전시된 작품을 보면 바닥에 놓이지 않고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었는데, 중력의 영향을 받기보다 공간을 떠다니는 듯한 환영을 만들어낸다. 성적인 매력을 지닌 여성에 대한 환상은 한순간 멈추고 흡사 교수형을 당한 것 같은 형상에 섬뜩함마저 느껴진다.
“여성의 몸에 기술이라는 상징성을 더한 사이보그의 몸에서는
인체와 기술을 정확히 분리할 수 없고, 둘 중 어떤 것도 우위에 놓일 수 없다. "
Installation view of ‘Lee Bul’, Artsonje Center, Seoul, 1998.
Photo by Rhee Jae-yong. ©Image courtesy of The Art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