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 셀라의 독보적인 셀렉션
잘 몰랐던 신대륙 와인부터 구할 수 없었던 와인까지.
하우스 오브 신세계 와인 셀라가 보내온 희귀 와인 세계로의 초대장.
‘와인 셀라에 없는 와인은 국내에 없다’는 하우스 오브 신세계의 자신만만한 슬로건 뒤에는 희귀 와인을 국내 시장에 소개하기 위한 바이어들의 진땀이 숨어 있다. 생산자를 직접 만나는 것은 기본, 컬렉터들이 내놓는 경매 정보를 발 빠르게 입수하고, 바이어이자 소믈리에로서 쌓아 온 모든 커넥션을 동원하기까지. 말 그대로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찾는다. 결코 자본만으로도, 애호가들에게 소개하고 싶은 마음만으로도 들여놓을 수 없는, 적게는 1백만원대부터 수천만원, 수억원을 호가하는 와인들이 그렇게 와인 셀라를 장식했다. 이 방대한 수집력으로 와이너리를 비롯해 해외 와인업계 관계자들이 한국을 찾을 때 ‘필수 방문지’가 됐고, 먼저 거래를 요청하는 일도 왕왕 있다고. 다만 하우스 오브 신세계가 말하는 희귀 와인이 고가의 파인 와인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구대륙 혹은 미국 와인에 편중되어 있는 국내 와인 시장의 다양화를 위해 불모지로 나서는 발걸음에도 거침없다. 김민주 소믈리에가 호주에서 두 번째로 큰 와인 생산지인 호주 빅토리아주 정부 농림부에서 최초로 진행한 해외 바이어 초청 행사를 참가하기도 하였다. 그때 발견한 와인 중 하나가 ‘파이퍼 레어 러더글렌 뮈스까’로, 호주에서 명물인 데다 전 세계적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생산자임에도 국내에서는 생소한 스위트 와인이다. 당장은 품질 대비 인지도가 낮더라도 매력적인 양질의 와인을 소개한다는 것. 이것이 와인 셀라만의 희귀 와인 셀렉션 철학이다. “공부하고 경험했던 것들을 구매할 수 있는 ‘실재’로 만들어내는 데 큰 보람을 느낀다”는 하우스 오브 신세계 바이어들의 진심 어린 한마디는 앞으로 와인 셀라가 보여줄 진귀한 와인 콘텐츠에 기대를 품게 한다.
1 PDR(Personal Dining Room) 옆에 마련된 룸.
2 에이펙스 컬렉션 룸에 진열된 할란 섹션.
3 19세기 필록세라 전염병 이전 보르도 포도 원형을 간직한 토종 포도로만 생산되는 리베르 파테르 컬렉션.
“HARD TO FIND!”
HOUSE OF SHINSEGAE EXCLUSIVE
하우스 오브 신세계 와인 셀라에서 만날 수 있는 전 세계적으로 희귀한 와인들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