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INSEGAE × FRIEZE SEOUL
지난해 세계 최대의 아트 페어 ‘프리즈’가 국내에 상륙했고, 올해 제2회 ‘프리즈 서울’까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제 아시아 최대 아트허브로 자리 잡은 서울, 그리고 예술과 트렌드가 공존하는 세계 곳곳에서 신세계의 예술적 철학이 펼쳐진다.
1
분더샵 청담, 갤러리가 되다
프리즈 공식 파트너로서 보여준 상업적 공간의 잠재력과 가능성.
백화점이 프리즈 서울에 참가하면 아트 신과 트렌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까? 국내 유통업계 최초로 프리즈 서울 공식 파트너로 참가한 신세계의 행보는 프리즈 서울이 막을 내린 이후에도 화제가 되고 있다. 엄밀히 살펴보면, 신세계와 국내외 아트 신의 밀접한 관계의 역사는 50여 년 전부터 시작된다. 1966년 1월, 국내 백화점 최초로 본점에 미술 전문 상설 전시장 ‘신세계 갤러리’를 개관한 이후부터다. 이후 50여 년간 강남과 대구 등 다양한 점포에 신세계 갤러리를 오픈하며 예술 문화 활성화에 주력해왔다. 백화점이기에 가능한, 고유의 아트 콘텐츠를 쌓아온 셈. 그렇기에 올해 세계 최대 아트 페어 ‘프리즈’를 통해 선보인 품격 있는 아트 리테일과 독보적인 K-아트 콘텐츠는 유의미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번 제2회 프리즈 서울의 열기가 유독 뜨거웠던 요인 중 하나인 럭셔리 패션 하우스의 프리즈 관련 이벤트가 밤낮없이 서울의 거리를 채색한 가운데, 특별히 신세계는 편집숍 분더샵에 대대적인 변화를 주며 이색적인 전시 공간을 선보였다. 상업적 공간이 모색하는 크리에이티브한 아트 신을 구체화한 것이다. 분더샵 청담은 내부 곳곳에 아트 피스를 배치해 건물 자체가 하나의 작품처럼 보일 수 있도록 변화를 꾀했다. 공간에 배치된 작품, 그리고 작품에서 비롯된 영감과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 또한 이번 분더샵 청담의 변신을 살펴보는 흥미로운 관점이 되리라 확신한다.
가장 화제가 되었던 것은 아트리움과 신세계 갤러리의 새로운 전시 공간으로 변모한 S관 1층과 N관 3층. 펠트웰이 펼쳐지는 유니크한 아트리움으로 분한 S관 1층에서는 독일 작가 요셉 보이스Joseph Beuys의 상징적인 펠트 천을 활용한 작품 ‘Plight’를 모티브로 한층 묵직한 무드를 연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