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 아름다운 크리스마스 영화
올해 머라이어 케리가 ‘크리스마스 여왕’ 상표권을 주장했을 때,
역으로 나는 크리스마스 정신이란 무엇인가를 질문했다.
영화도 유사한 기능을 한다. 영화 〈해롤드와 쿠마〉의 세 번째 속편을
보고 나서 크리스마스 정신을 떠올린 그날처럼, 완벽하지 않아
더욱 아름다운 크리스마스 영화를 골라보았다.
<폴라 익스프레스> (2004)
크리스마스 영화라는 장르
한국인에게는 <멋진 인생>처럼 모든 세대가 함께 즐기는 전통적 인 크리스마스 영화가 없다. 우리는 오랫동안 크리스마스를 즐 겨왔지만 한국 버전의 <멋진 인생> 같은 영화를 여전히 갖지 못 했다. 크리스마스라는 이름이 들어간 걸작 <8월의 크리스마스> (1998)가 떠오르긴 하지만 ‘크리스마스 영화’라고 부르기는 어색 하다. 그래서 우리는 조금 자의적으로 크리스마스 영화를 선택한 다. 그렇다면 <나 홀로 집에>처럼 익숙한 영화 말고 다른 선택은 없는 걸까?
잊혀진, 그러나 다시 봐야할 감독
피터 잭슨은 그걸 바탕으로 <반지의 제왕>의 골룸을 만들었고, 제임스 카메론은 <아바타>를 만들었다. 그 시절 저메키스는 뭘 만들었냐고? <폴라 익스프레스>, <베오울프>, <크리스마스 캐롤>을 만들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이 이 영화들의 제목을 전혀 모른다고 해도 비난할 생각은 없다. 세 영화는 시원찮은 흥행 성적을 기록 한 뒤 사라졌기 때문이다. 저메키스는 사실상 모션 캡처 기술을 선도한 인물이지만 피터 잭슨과 제임스 카메론에게 모든 결실을 양보한 채 잊힌 셈이다.
<폴라 익스프레스> (2004)
"생각해보면 크리스마스라는 시즌 자체가 그렇다. 겨울의 차가움과 명절의 따뜻함이 엉켜 있는 그 시즌은 사람 마음을 붕 뜨게 하면서도 고요하게 가라앉히는 구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