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문화의 원류를 찾아서’는 광주신세계에서 지난 1998년부터 개최해온 대표적인 연례 전시로 남도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예술, 자연환경을 주제로 삼고 있습니다. 전국에서 모인 예술인들이 해당 지역의 전문가와 함께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답사한 후, 그곳에서 느낀 각자의 생각과 영감에서 비롯된 작품과 다양한 결과물을 모아 전시를 준비했습니다.
열아홉 번째 테마인 올해 전시의 답사지는 연꽃을 닮은 섬 ‘보길도’입니다. 전라남도 완도군에 속한 보길도는 뛰어난 자연 경관으로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섬이기도 하지만 부용동 정원이라 불리는 고산 윤선도의 유적이 있어 더욱 잘 알려져 있습니다. 섬의 아름다운 경관에 매료되어 이 곳에 머문 고산은 섬의 산세가 피어나는 연꽃과 닮았다 하여 ‘부용동(芙蓉洞)’이라 이름을 지었습니다. ‘세상 밖인 듯 아름다운 경치(物外佳境)’를 품은 보길도에서 고산은 당시 시끄러웠던 세상과 멀리하며 ‘세상 밖에 사는 듯 한가로운 사람(物外閒人)’의 삶을 살고자 무릉도원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윤선도의 유적지로 알려진 그 곳에서 우리가 보고 느낀 것은 비단 고산에 관한 역사만이 아닙니다. 독특한 지형의 섬 안에 담겨진 자연과 직접 찾아간 고산이 남긴 유적지의 모습과는 사뭇 다른 현재 섬의 일상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섬 속의 낙원 보길도에서 자신만의 이상향을 꿈꾼 고산의 발자취를 쫓다 보니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그 곳의 과거 역사와 문화, 현재의 자연과 생활 속에 들어와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동백꽃이 지는 봄날 떠난 이번 답사는 보길도에서 남도의 아름다운 자연을 감상하고, 고산에게서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답사를 함께 한 작가들은 살아 숨쉬는 역사와 일상이 제공하는 주제들을 작가의 상상력으로 차분하고 솔직하게 묘사하였습니다. 370여 년 전 고산 윤선도가 터를 잡은 보길도에서 받았던 감동을 이번 전시에서 함께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남도문화의 원류를 찾아서’는 광주신세계에서 지난 1998년부터 개최해온 대표적인 연례 전시로 남도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예술, 자연환경을 주제로 삼고 있습니다. 전국에서 모인 예술인들이 해당 지역의 전문가와 함께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답사한 후, 그곳에서 느낀 각자의 생각과 영감에서 비롯된 작품과 다양한 결과물을 모아 전시를 준비했습니다.
열아홉 번째 테마인 올해 전시의 답사지는 연꽃을 닮은 섬 ‘보길도’입니다. 전라남도 완도군에 속한 보길도는 뛰어난 자연 경관으로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섬이기도 하지만 부용동 정원이라 불리는 고산 윤선도의 유적이 있어 더욱 잘 알려져 있습니다. 섬의 아름다운 경관에 매료되어 이 곳에 머문 고산은 섬의 산세가 피어나는 연꽃과 닮았다 하여 ‘부용동(芙蓉洞)’이라 이름을 지었습니다. ‘세상 밖인 듯 아름다운 경치(物外佳境)’를 품은 보길도에서 고산은 당시 시끄러웠던 세상과 멀리하며 ‘세상 밖에 사는 듯 한가로운 사람(物外閒人)’의 삶을 살고자 무릉도원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윤선도의 유적지로 알려진 그 곳에서 우리가 보고 느낀 것은 비단 고산에 관한 역사만이 아닙니다. 독특한 지형의 섬 안에 담겨진 자연과 직접 찾아간 고산이 남긴 유적지의 모습과는 사뭇 다른 현재 섬의 일상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섬 속의 낙원 보길도에서 자신만의 이상향을 꿈꾼 고산의 발자취를 쫓다 보니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그 곳의 과거 역사와 문화, 현재의 자연과 생활 속에 들어와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동백꽃이 지는 봄날 떠난 이번 답사는 보길도에서 남도의 아름다운 자연을 감상하고, 고산에게서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답사를 함께 한 작가들은 살아 숨쉬는 역사와 일상이 제공하는 주제들을 작가의 상상력으로 차분하고 솔직하게 묘사하였습니다. 370여 년 전 고산 윤선도가 터를 잡은 보길도에서 받았던 감동을 이번 전시에서 함께 느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