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본,
새로운 아트 허브의 꽃을 피우다
리스본에서 트램은 효율적인 이동을 돕는 최적의 수단이다.
유럽 국가 중 상대적으로 저렴한 물가, 편리한 이동, 무엇보다 지중해 심해에서 퍼져 나오는 청량한 무드가 일상에 스며 있는 도시. 1998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 주제 사라마구Jose′ Saramago의 말대로 과연 ‘리스본은 그 자체로 충분한 곳’이다. 엔데믹에 이른 작년 9월, 포르투갈에서 원격 근무자가 최대 5년까지 거주할 수 있는 디지털 노매드 비자가 발표되어 이제 리스본은 두 번째 인생을 위한 도시로 새로이 주목받는다. 소설이자 영화 <리스본행 야간열차>처럼 삶을 뒤흔드는 만남을 기대하며 리스본행 티켓을 과감히 클릭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막연한 버킷 리스트처럼 품었던 리스본에서의 새로운 삶, 그 꿈을 현실로 이룰 때가 온 것이다.
현재 빠르게 변화하는 리스본에는 다양한 국적의 사람이 몰려드는 만큼, 무수한 관점으로 리스본을 기록하고 향유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휴대폰은 잠시 넣어두자. 그저 트램이 이끄는 대로, 발길이 닿는 대로 구불구불한 언덕 지형의 리스본 면면을 따라 거닐며 우연한 시간 속에 자신을 맡기기를 바란다.
오늘의 디자인을 발굴하다, 디자이너 에마뉘엘
프랑스 디자이너 에마뉘엘 바블드Emmanuel Babled도 그중 하나였다. 그는 디자인 스튜디오를 리스본으로 옮긴 후 1년이 되지 않아 삶의 터전도 옮겼고, 아티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프라임 매터 갤러리Prime Matter Gallery를 오픈했다. “지금 리스본의 모습은 독일 베를린을 떠올리게 해요. 많은 이가 예술적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이곳으로 모이는 것 같아요. 젊은 아티스트들은 아름다운 아줄레주azulejo 타일로 뒤덮인 낡은 건축물을 캔버스로 삼고 있죠.” 리네로제, 에르메스, 디올 등 여러 명품 브랜드와 협업한 디자이너 노에 뒤쇼푸르-로랑스Noe′ Duchaufour-Lawrance는 또 다른 이유로 이곳을 택했다. “리스본은 과거부터 항로 개척과 무역의 중심지였어요. 그만큼 다양한 문화가 뒤섞이면서 여느 유럽 도시와 비교할 수 없는 독창적 분위기가 생겼죠. 이런 융합과 통섭의 즐거움을 깊이 느끼기 위해 포르투갈 장인과 함께 오늘의 디자인을 발굴·연구·제작하는 갤러리, 메이드 인 시투Made in Situ를 설립했어요. 리스본 고유의 문화를 본격적으로 불러들였죠.” 어찌 보면 그간 포르투갈 예술은 프랑스, 스페인 예술에 비해 소외된 편이었다. 독자적으로 주목받지 못했지만, 그래서 현재까지 고유의 성질을 온전히 유지하면서 실험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디자이너 에마뉘엘 바블드가 설립해 앨리스 갈레피Alice Galeffi가 운영하는 예술·디자인·장인 정신을중요시하는 프라임 매터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