돋보기를 들고 그림 한 점을 ‘읽는다’. 조선시대 화가 혜원 신윤복의 ‘주유청강舟遊淸江’, 즉 뱃놀이다. 국보 제135호로 지정된 <혜원전신첩>에 포함된 것으로 서울 성북동에 있는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혜원전신첩>은 ‘단오풍정’, ‘월하정인’ 등 조선 시대 풍속화의 대가 혜원의 명작이 망라된 보물이다. 돋보기를 드는 이유는 그림이 크지 않고(28.2×35.2cm) 혜원이 가는 붓을 즐겨 사용했기 때문이다. 볼록렌즈를 가까이 대면 눈동자의 방향, 입술의 떨림까지 볼 수 있다. 신윤복(1758~?)은 영·정조 시대를 살았다. 그 시절 조선은 풍요로웠다. 행정 서비스는 세계 최고 수준이었고 문맹률은 가장 낮았다. 그 후 조선은 급전직하해 한 세기 만에 망국의 운명을 맞이한다. 혜원의 그림에는 감나무에서 떨어지기 직전의 홍시 같은 조선의 순간순간이 담겨 있는데, ‘주유청강’이 바로 그런 작품이다. 배 중간에 차일을 쳤으니 계절은 초여름과 초가을 사이일 것이다. 배경에 큰 바위가 비스듬하게 자리 잡고 있다. 적당한 긴장감과 함께 암벽에서 뿜어져 나오는 한기가 서늘하다. 그 바위에 화제畵題를 썼다. “一笛晩風聽不得, 白鷗飛下浪花前(젓대 소리는 바람에 흩어져 들리지 않고, 흰 갈매기들이 물결 앞으로 날아든다).” 사람들 가운데서 소년이 젓대(대금)를 불고 있는데 그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고 한다. 바람 때문이란다. 하지만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은 바람탓이 아니다. 배에 오른 손님을 보자. 남자 셋, 여자 셋이다. 귀족 양반들이 기생들과 짝을 맞추고 소년 악사 하나를 불러 뱃놀이에 나섰다. 한데 사내들을 살펴보면 이들의 귀에 젓대 소리 따위가 들리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모두 ‘작업’에 몰두하고 있어서 누가 피리를 부는지 갈매기가 날아드는지 관심을 기울일 겨를이 없는 것이다. 왼쪽 아래 남자는 셋 중 가장 젊다. 분위기를 보면 여자와 초면은 아니다. 몇 번 만났지만 무슨 이유에선지 의기투합하지 못했거나 좋았던 사이가 틀어졌다. 여자가 뱃전에 몸을 숙이고 강물에 ‘손을 씻고’ 있지 않은가. 그녀의 눈매는 서릿발같이 차갑다. 곁에서 바라보는 남자의 얼굴에 낭패감이 가득하다. 갓끈을 당기는 손, 턱을 받친 하얀 팔에서 초조함이 묻어난다. 반면 오른쪽 연인은 진도가 잘나간다. 수염이 나기 시작한 사내는 노련해 보인다. 여자의 담뱃대를 들어주고 왼팔로는 은근히 어깨를 당긴다. 여자는 모든 것을 허락한 얼굴이다. 하지만 남자는 마지막 순간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곁에서 대금을 부는 소년도 이들을 바라보며 의미심장한 미소를 짓는다.
‘수룡음’이 수록된 마땅한 음반을 추천하기 힘들다.
유튜브에서 좋은 연주를 들을 수 있다. 이 음반에는 작곡가진은숙의 생황 협주곡 ‘슈’가 수록돼 있다. 중국인 생황연주가 우웨이가 정명훈이 지휘하는 서울시향과 협연했다. 생황의 진면목, 가능성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커플은 뚝 떨어져 있다. 셋 중 가장 연장인 남자는 차일 아래 혼자 뒷짐을 지고 서 있다. 점잔을 떠는 이유는 알 만하다. 허리를 묶은 하얀 술띠를 보라. 상중喪中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그의 눈길은 멀리 뱃머리에 앉은 여인에게 꽂혀 있다. 여인도 앵두 같은 입술을 악기에서 잠시 떼고 눈은 남자를 바라본다. 뜨겁고 애타는 시선이 두 사람 사이에 전류처럼 흐른다. 여인이 배의 가장 높은 곳에 앉아 부는 악기는 생황이다. 생황은 주변에서 보기 힘든 악기가 됐지만, 오랜 세월 우리 민족과 함께했다. 강원도 오대산 상원사의 옛 종鐘에 생황 연주 모습이 새겨져 있어 신기하게 생각한 적이 있다. 종은 서기 725년 통일신라 시대에 주조했으니 훨씬 이전부터 생황은 우리 악기였을 것이다. 조선 시대 풍속화에도 생황이 흔하게 등장한다. 혜원의 그림에서는 주로 기생들이, 단원 김홍도의 작품에서는 자신을 그린 ‘포의풍류도’에서 보듯 선비들이 연주한다. 생황은 그 시절 여러 계층에서 흔하게 연주한 악기였다는 뜻이다. 한강의 잔물결 위, 배에 걸터앉은 여인이 남정네를 바라보며 부는 저 악기는 어떤 소리를 낼까. 작게는 하모니카, 크게는 파이프오르간의 음색을 닮았다. 풍금과도 비슷하다. 가야금, 거문고, 대금 등 우리 악기가 식물성 소리를 내는 데 비해 생황은 다소 이국적이다. 연주 음악은 ‘수룡음水龍吟’이 아닐까 상상해본다. 수룡음은 원래 선비들의 성악곡인 가곡인데 반주만 따로 떼어 기악곡으로 만든 것이다. 주로 대나무 악기인 단소와 이중주(생소병주)로 연주한다. 그런데 ‘물속을 노니는 용의 노래’도 사내들 귀에는 들리지 않았을 것이다. 딱 한 사람, 배의 꼬리에서 노를 젓는 사공만이 그 신비한 소리를 음미하고 있는 것 같다. 세 상사 달관한 그의 얼굴이 빙그레 부처 같은 미소를 짓고 있는 것을 보니.